멘토 Pick! 25년 10월 둘째 주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주도 카카오 출신 멘토님께서 이번 주에 직접 선정한 아티클을 공유드립니다!
멘토's Pick에서 트렌디한 인사이트를 놓치지 마세요! 🚀
🤔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 대부분 아티클은 영문으로 제공됩니다. 영문 글을 읽을 때 크롬 번역 플러그인을 쓰면 읽기가 불편하나, 크롬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읽듯이 좀 더 쉽게 영어 아티클을 읽을 수 있습니다. Trancy Chrome 플러그인을 설치 후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아티클을 읽고 어떤 점을 더 고민해 보고, 생각해 보면 좋을지 제시해 주시는
멘토님의 Comment
도 잘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How We Migrated 1 Billion Records from DB1 to DB2 Without Downtime
- >>> 아티클 보러가기 >>>
- 10억 건의 데이터를 무중단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활용했는지 소개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10억레코드가 존재하는 DB를 실시간 트래픽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마이그레이션하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요?
새로운 스키마에 기존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하고 신규 데이터까지 쌓는 빅뱅 방식을 활용하는건 롤백 불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 안정성이 중요한 서비스에서는 사용하면 안되는 방식입니다. 이런 경우 어떤 방식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할지, 롤백 시나리오는 어떻게 수립할지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Comprehension Debt: The Ticking Time Bomb of LLM-Generated Code
- >>> 아티클 보러가기 >>>
- LLM이 생성한 코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누적될 때 발생하는 이해부채 개념을 소개하며 장기적으로 유지보수성과 개발 속도를 동시에 갉아먹는 문제를 경고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AI가 코드를 대신 써주는 시대, 우리는 정말 그 코드를 이해하고 있을까요? 당장 눈앞의 생산성은 높아졌지만 이 모든 코드를 이해하고 배포하고 있을까요?
LLM이 만들어낸 코드는 빠르지만 불투명합니다. “나중에 다시 LLM이 고쳐주면 되겠지”라는 안일함이 반복되면 결국 팀 전체가 코드의 의도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Reflection for the modern Java programmer
- >>> 아티클 보러가기 >>>
- 자바의 리플렉션기능에 대해 어떻게 동작하는지 기본 원리부터 주의사항까지 가이드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리플렉션은 런타임에 객체의 내부를 직접 들여다보고 수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가능하다고 해서 항상 써야 하는 건 아닙니다.
리플렉션은 코드 유연성을 높이지만 타입 안정성과 성능, 캡슐화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특히 프레임워크 레벨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남용하면 디버깅과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우리 코드에서 리플렉션이 정말 필요한 이유는 명확한가요? 단지 편의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면,설계 자체를 다시 돌아볼 때일지도 모릅니다.
깊이 있는 인사이트와 현실적인 조언이 담긴 멘토님들의 인터뷰와 커리어 성장 콘텐츠가 데브클럽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실력 있는 현직 개발자 멘토들과 직접 소통하고, 생생한 실무 노하우와 커리어 성장 전략을 배워보세요!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