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에서 커스텀 데이트 피커 만들기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AI가 제공하는 얕고 넓은 지식을 위한 짤막한 글입니다!

리액트 커스텀 날짜 선택기 구현하기
웹 개발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UI를 커스터마이징할 필요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리액트에서 HTML 기본 UI 대신 커스텀 데이트 피커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HTML5의 input type='date'
는 브라우저마다 들쭉날쭉한 UI를 가지고 있어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커스텀 컴포넌트를 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커스텀 UI를 만들면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일관성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커스텀 컴포넌트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도 크게 기여합니다. 리액트에서는 흔히 '재사용성'을 중요시 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액트와 관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탐구해보겠습니다.
React Hook Form으로 폼 연동
React Hook Form은 리액트에서 편리하게 폼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오늘 만들 커스텀 날짜 선택기도 React Hook Form과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입니다.
먼저, 기본적인 폼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그 안에서 날짜 선택기의 기능을 포함시킬 것입니다.
왜냐하면 React Hook Form은 최소의 코드로 폼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성능 또한 뛰어납니다.
코드 예시로는 다음과 같이 React Hook Form을 사용하여 커스텀 날짜 선택기를 연동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Form, Controller } from 'react-hook-form';
import DatePicker from './CustomDatePicker';
function MyForm() {
const { control, handleSubmit } = useForm();
const onSubmit = data => console.log(data);
return (
<form onSubmit={handleSubmit(onSubmit)}>
<Controller
name="date"
control={control}
defaultValue=""
render={({ field }) => <DatePicker {...field} />}
/>
<button type="submit">Submit</button>
</form>
);
}
export default MyForm;
이 코드는 날짜를 입력받는 폼 필드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데이터를 제출할 때마다 console.log
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컨트롤러와 확장성 있는 설계
React Hook Form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특정 기능을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확장 가능한 구조로 설계할 경우 코드 유지보수와 새로운 기능 추가가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날짜 선택기 외에도 다양한 입력 컴포넌트들을 구현하고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에서는 컴포넌트를 모듈화하여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쉽게 재활용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드 예시에서 사용한 Controller
API는 React Hook Form의 장점 중 하나로, 이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컴포넌트와 변수명을 신중하게
리액트에서 컴포넌트와 변수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적절한 이름 짓기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뿐 아니라, 다른 개발자들이 코드의 의도를 파악하기 쉽게 만듭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협업 작업이 많기 때문에, 변수를 명확히 하고 컴포넌트 내의 역할을 정확히 표현하는 이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명확한 명명법을 사용하는 개발자는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종종 개발자의 전문성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 리뷰 과정에서의 소통도 원활해지며, 다양한 실수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줄이며, 코드 수정 시 문제점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타입스크립트와의 통합 활용
타입스크립트는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적 타입 검사기입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타입스크립트와의 통합을 통해 어떻게 안정성을 더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타입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컴포넌트의 프로퍼티 유형을 명시화하고,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유용합니다.
왜냐하면 타입스크립트는 작성한 코드에 대해 컴파일 시 오류를 잡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런타임 오류를 줄이고 개발 시간을 절약합니다.
다음은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간단한 예시입니다.
interface DatePickerProps {
value: string;
onChange: (event: React.ChangeEvent<HTMLInputElement>) => void;
}
const DatePicker: React.FC<DatePickerProps> = ({ value, onChange }) => {
return <input type="date" value={value} onChange={onChange} />;
};
이처럼 타입스크립트를 활용하면 기능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코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리액트에서 커스텀 데이트 피커를 만드는 과정을 탐구했습니다. 커스터마이즈된 UI는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코드 재사용성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React Hook Form을 사용하여 폼을 유연하게 관리하는 방법도 배웠으며, 컨트롤러를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도 다루었습니다.
명명법과 모듈화를 통해 코드를 보다 명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타입스크립트를 도입하여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고,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도 다루었습니다.
이번 글이 리액트 개발에 있어 커스텀 컴포넌트 구현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많은 프로젝트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선을 이뤄나가기 바랍니다.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