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 Pick! 25년 2월 넷째 주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주도 카카오 출신 멘토님께서 이번 주에 직접 선정한 아티클을 공유드립니다!
멘토's Pick에서 트렌디한 인사이트를 놓치지 마세요! 🚀
🤔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 대부분 아티클은 영문으로 제공됩니다. 영문 글을 읽을 때 크롬 번역 플러그인을 쓰면 읽기가 불편하나, 크롬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읽듯이 좀 더 쉽게 영어 아티클을 읽을 수 있습니다. Trancy Chrome 플러그인을 설치 후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아티클을 읽고 어떤 점을 더 고민해 보고, 생각해 보면 좋을지 제시해 주시는
멘토님의 Comment
도 잘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웹 서비스 캐시 똑똑하게 다루기
웹 서버에서 HTTP 캐시를 다루는 기초 가이드를 설명합니다.
Cache-Control에 대한 동작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멘토님의 Comment
"웹 환경에서 Cache-Control 옵션을 잘 사용하면 브라우저가 요청을 캐싱하여 서버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브라우저에 캐시가 남으면 유효기간이 끝나기 전까지는 지우고 싶어도 지우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브라우저가 캐시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어떻게 유효성 검증을 하는지 이해하고 있다면 요청을 줄이는 Cache-Control 옵션은 꽤나 강력하지만 잘 모르고 썼다가는 데이터 불일치로 골치아픈 버그를 만날수도 있습니다.
트래픽 비용을 줄이기 위한 기초 방식인 Cache-Control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계신가요?"
💡캐시 문제 해결 가이드 - DB 과부하 방지 실전 팁
대용량 트래픽 환경에서 캐시 사용시 주의할 사항에 대해 공유합니다.
캐시를 사용해도 데이터베이스 부하로 인해 장애 발생 가능성이 생기는 시나리오와,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멘토님의 Comment
"대규모 트래픽에서는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캐시를 주로 적용하곤 합니다. 캐시는 언제든 만료될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와 불일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확장성이 적은 RDBMS의 부하를 줄이고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캐시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이 꽤 많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TTL이 지정된 캐시가 만료된 상태에서 다량의 조회 요청이 발생하는 Cache Stampede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이슈에 대해 대비하지 않는다면 RDBMS로 요청되는 대량의 트래픽으로 인해 시스템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성능을 위해 캐시를 적용하는게 아닌, 캐시 데이터의 특성과 여러가지 고려해야할 점을 꼭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캐시 스탬피드를 대응하는 성능 향상 전략, PER 알고리즘 구현
Cache Stampede이슈를 해결하는 방식 중 하나인 PER 알고리즘을 설명하고 구현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Cache Stampede 이슈는 대규모 트래픽 서비스가 아니라면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서비스에 지장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DB 부하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 서비스에서는 Cache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Cache TTL이 만료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Cache Stampede의 여러 해결 방식과 방지 방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위 글에서는 여러 해결방법중 하나인 PER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코드 몇줄의 추가로 간단하게 Cache Stampede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런 방법이 있다는걸 눈여겨본 후, 추후 이런 이슈의 방지가 필요할 때 "이런 방식이 있었지!" 하고 떠올려, 필요할 때 적용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