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에서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 관리하기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AI가 제공하는 얕고 넓은 지식을 위한 짤막한 글입니다!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 관리의 필요성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특히 로컬 스토리지와 같은 브라우저 내장 저장소를 활용할 때 이러한 요구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 관리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왜냐하면 외부 저장소는 리액트의 라이프사이클과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액트의 useSyncExternalStore 훅을 활용하여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훅은 리액트 18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외부 저장소와의 동기화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이 글에서는 코드 예제를 통해 실제 구현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관련된 이론과 기술적 배경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 관리를 위한 대안적인 접근법도 소개하며,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useSyncExternalStore 훅의 기본 개념
useSyncExternalStore는 리액트에서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훅입니다. 이 훅은 외부 저장소의 상태를 구독하고,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왜냐하면 외부 저장소는 리액트의 상태 관리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를 리액트 컴포넌트와 동기화하려면 별도의 메커니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useSyncExternalStore의 기본 사용법을 보여주는 코드 예제입니다:
const useExternalStore = () => { const store = useSyncExternalStore( subscribe, getSnapshot, getServerSnapshot ); return store; };
여기서 subscribe
는 외부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구독하는 함수이고, getSnapshot
은 현재 상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getServerSnapshot
은 서버 렌더링 시 사용됩니다.
이 훅을 사용하면 외부 저장소와 리액트 컴포넌트 간의 상태 동기화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컬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려면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const subscribe = (callback) => { window.addEventListener('storage', callback); return () => window.removeEventListener('storage', callback); }; const getSnapshot = ()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data')) || []; const useLocalStorageStore = () => { return useSyncExternalStore(subscribe, getSnapshot); };
이 코드는 로컬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리액트 컴포넌트와 동기화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useSyncExternalStore를 활용한 카드 관리 시스템
이제 useSyncExternalStore를 활용하여 카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시스템은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카드 데이터를 관리하며, 카드 추가, 삭제, 갱신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카드 관리 시스템의 주요 코드입니다:
const createCardStore = () => { let cards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cards')) || []; const getSnapshot = () => cards; const subscribe = (callback) => { const listener = () => callback(getSnapshot()); window.addEventListener('storage', listener); return () => window.removeEventListener('storage', listener); }; const addCard = (card) => { cards.push(card); localStorage.setItem('cards', JSON.stringify(cards)); }; const removeCard = (id) => { cards = cards.filter(card => card.id !== id); localStorage.setItem('cards', JSON.stringify(cards)); }; return { getSnapshot, subscribe, addCard, removeCard }; }; const cardStore = createCardStore(); const useCardStore = () => { return useSyncExternalStore( cardStore.subscribe, cardStore.getSnapshot ); };
이 코드는 카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외부 저장소를 생성하고, 이를 useSyncExternalStore와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왜냐하면 로컬 스토리지와 같은 외부 저장소는 리액트의 상태 관리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를 동기화하려면 별도의 메커니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대안적인 접근법: 리액트 컨텍스트 활용
useSyncExternalStore 외에도 리액트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상태를 전역적으로 관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다음은 리액트 컨텍스트를 활용한 카드 관리 시스템의 예제입니다:
const CardContext = React.createContext(); const CardProvider = ({ children }) => { const [cards, setCards] = useState([]); const addCard = (card) => { setCards([...cards, card]); }; const removeCard = (id) => { setCards(cards.filter(card => card.id !== id)); }; return ( {children} ); }; const useCardContext = () => { return useContext(CardContext); };
이 코드는 리액트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카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컨텍스트를 사용하면 상태를 전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간의 상태 공유가 간단해집니다.
왜냐하면 컨텍스트는 리액트의 상태 관리 시스템과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 및 추천
이 글에서는 리액트에서 외부 저장소와 동기화된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useSyncExternalStore 훅과 리액트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상태를 관리하는 두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습니다.
useSyncExternalStore는 외부 저장소와의 동기화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반면, 리액트 컨텍스트는 상태를 전역적으로 관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각 접근법은 특정 상황에서 더 적합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각 방법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상태 관리와 관련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테스트 코드는 코드의 품질을 보장하고, 버그를 사전에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이 리액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피드백이 있다면 언제든지 공유해 주세요.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